주말에 종로 간 김에 친구들과 겸사겸사 금호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올레 아트전 에 다녀왔습니다.
25인의 다양한 작가가 'olleh kt'라는 텍스트를 재해석한 작품들을 전시하고 있었는데요. 신기한 것도 재밌는 것도 너무 많아서 눈이 즐거웠습니다.
예술을 기업브랜드 경영에 새롭게 활용하여 kt 입장에서는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어 좋고
무료로 양질의 전시를 볼 수 있기에 고객입장에서도 좋고,
작가 역시 새롭게 고민해보고,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하나 더 추가할 수 있어 좋고
누이 좋고 매부좋고, 도랑치고 가재잡는 예술과 기업의 바람직한 만남이라고 생각합니다.
25인의 다양한 작가가 'olleh kt'라는 텍스트를 재해석한 작품들을 전시하고 있었는데요. 신기한 것도 재밌는 것도 너무 많아서 눈이 즐거웠습니다.
예술을 기업브랜드 경영에 새롭게 활용하여 kt 입장에서는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어 좋고
무료로 양질의 전시를 볼 수 있기에 고객입장에서도 좋고,
작가 역시 새롭게 고민해보고,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하나 더 추가할 수 있어 좋고
누이 좋고 매부좋고, 도랑치고 가재잡는 예술과 기업의 바람직한 만남이라고 생각합니다.
금호미술관 앞에서 커다랗게 우리를 맞이했던 올레 아트전 포스터? 플랜카드? ㅎㅎㅎ
마음에 들었던 작품 몇 점 올려볼게요.
네모네모 스펀지밥이 생각나는 상큼하고 아기자기한 작품입니다.
kt가 있는 공간, 캘리그라피와 인테리어의 만남, 이 또한 올레스럽지 않나요?
파릇파릇 올레kt가 자라나는 책상입니다. 잔디와 화분으로 젊고 싱싱한 이미지를 표현한 것 같네요!
박진우씨의 작품 '펑키로열(Funky Royal)'입니다. 파격적이고 세련되면서도 고풍스러워 보이죠? 자세히 보시면 각각의 올레한 생물체들이 살아 숨쉬고 있습니다. 조지오웰의 <동물농장>을 읽고 영감을 받아 작업해온 그래픽디자인 '펑키로열' 시리즈의 연장선상에 있는 작품으로, 이번에는 유리와 조명을 사용해 새로운 이미지의 입체작업을 시도했다고 하네요.
kt가 있는 공간, 캘리그라피와 인테리어의 만남, 이 또한 올레스럽지 않나요?
파릇파릇 올레kt가 자라나는 책상입니다. 잔디와 화분으로 젊고 싱싱한 이미지를 표현한 것 같네요!
박진우씨의 작품 '펑키로열(Funky Royal)'입니다. 파격적이고 세련되면서도 고풍스러워 보이죠? 자세히 보시면 각각의 올레한 생물체들이 살아 숨쉬고 있습니다. 조지오웰의 <동물농장>을 읽고 영감을 받아 작업해온 그래픽디자인 '펑키로열' 시리즈의 연장선상에 있는 작품으로, 이번에는 유리와 조명을 사용해 새로운 이미지의 입체작업을 시도했다고 하네요.
o l L e h K T 올레의 영상화.
새까만 자갈밭 속에 자갈모양의 USB가 숨어있습니다. 이것을 발견한 당신은 와우. USB가 16기가라면 올레?!ㅋㅋㅋㅋㅋㅋㅋ
특정한 각도에서만 올레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옆에서 뒤에서 아무리 살펴봐도 olleh라는 글자를 찾을 수 없어요. 하지만 어느 한 위치에서는 반드시 보입니다. 첫째로 너무 신기했고, 둘째로 많은 것을 생각하게했던 작품
아기자기한 식기들이 주방에 데코하고 싶은 충동을 마구 일으킵니다!
후후. 귀여운 소녀?가 올레티를 입고 있네요.
올레와의 진정한 교감. 영화ET가 생각나는군요.
제일 공감갔던 작품입니다. 박우혁 작가의 작품인데요. 최고의 감탄사라는 올레의 컨셉에 맞게 올레한 다이어리를 제작했습니다. 2010년은 직장인들에게 너무 슬픈 한 해랍니다. 휴일이 112일밖에 안된다네요. 그런 휴일일수록 더욱 올레를 외치는! 올레 다이어리입니다. 휴일이 매일매일 기다려지는 우리로서는 휴일을 큼지막하게 표시해 준 올레 다이어리가 제격이겠죠. 이건 정말 개인소장하고 싶었다는 ><
-
이렇게 올레아트전을 둘러보았습니다. 기대 안하고 갔는데 생각보다 크리에이티브한 작품이 많이 보여서 놀랐습니다. 기업차원에서 문화사업을 하는 건 (물론 기존에도 많았지만) 저는 처음 접해보았거든요. 상업예술인지 그것이 현대미술인지, 예술인지 논란은 잠시 접어두고, MUST Creative를 향해서. 앞으로도 25인의 젊은 작가들이 미래를 상상해봅니다. 강추강추
-
아, 월요일은 휴관이래요.
특정한 각도에서만 올레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옆에서 뒤에서 아무리 살펴봐도 olleh라는 글자를 찾을 수 없어요. 하지만 어느 한 위치에서는 반드시 보입니다. 첫째로 너무 신기했고, 둘째로 많은 것을 생각하게했던 작품
아기자기한 식기들이 주방에 데코하고 싶은 충동을 마구 일으킵니다!
후후. 귀여운 소녀?가 올레티를 입고 있네요.
올레와의 진정한 교감. 영화ET가 생각나는군요.
제일 공감갔던 작품입니다. 박우혁 작가의 작품인데요. 최고의 감탄사라는 올레의 컨셉에 맞게 올레한 다이어리를 제작했습니다. 2010년은 직장인들에게 너무 슬픈 한 해랍니다. 휴일이 112일밖에 안된다네요. 그런 휴일일수록 더욱 올레를 외치는! 올레 다이어리입니다. 휴일이 매일매일 기다려지는 우리로서는 휴일을 큼지막하게 표시해 준 올레 다이어리가 제격이겠죠. 이건 정말 개인소장하고 싶었다는 ><
-
이렇게 올레아트전을 둘러보았습니다. 기대 안하고 갔는데 생각보다 크리에이티브한 작품이 많이 보여서 놀랐습니다. 기업차원에서 문화사업을 하는 건 (물론 기존에도 많았지만) 저는 처음 접해보았거든요. 상업예술인지 그것이 현대미술인지, 예술인지 논란은 잠시 접어두고, MUST Creative를 향해서. 앞으로도 25인의 젊은 작가들이 미래를 상상해봅니다. 강추강추
-
아, 월요일은 휴관이래요.
' : 문화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야행 - 하얀 어둠 속을 걷다. (0) | 2009.12.11 |
---|---|
유쾌한 상상, 굿모닝 프레지던트 (0) | 2009.11.16 |
디자인 분야의 경계를 넘어선 디자이너 '박진우' (0) | 2009.10.21 |
두 도시의 매력 속으로 - 10월 개봉 영화 <부산>, <파주> (0) | 2009.10.19 |
희망은 있다. - Photography by Dirk Juergensen (0) | 2009.10.14 |